network
-
[포트폴리오] 포트폴리오 웹사이트 최적화(?) - 3 (CRP, link rel = pre connect, pre-load, dns-prefetch))network 2024. 2. 27. 18:20
라이트 하우스 검사 결과를 보다보니 생긴 이 항목...! preconnect나 dns-prefetch를 하라고 한다 항목을 보니 배경 이미지를 https://www.transparenttextures.com/ 여기서 url로 받아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를 원 출처에 preconnect나 dns-prefetch 요구를 해서 좀 더 빨리 받아오라는 뜻인 거 같다 태영님과 스터디를 할 때 preconnect 인가 이거 본 거 같은데 잘 기억이 안 난다; 다행히 라이트 하우스는 아주 친절하게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도 알려준다 learn how to ~를 누르면 아래의 url로 이동한다 https://developer.chrome.com/docs/lighthouse/performance/uses-rel-pr..
-
[NetWork] OAuth와 JWT의 차이점network 2024. 1. 30. 17:50
OAuth, JWT OAuth(Open Authorization)란?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 사용자들이 타사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의 계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허용 OAuth가 나오기 전까지 기본 인증이 아닐 경우는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각자의 개발한 회사의 방법대로 사용자를 확인하였으나 OAuth가 나오면서 이렇게 제각각인 인증방식을 표준화함 OAuth를 이용하면 이 인증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끼리는 별도의 인증이 필요 없음. 따라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 OAuth의 구성 요소 Resou..
-
[NetWork] REST APInetwork 2024. 1. 29. 18:00
REST API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란? 웹 상의 자원을 HTTP URI를 통해 특정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말함 REST는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임 REST의 구성요소 자원(Resource): URI를 통해 자원의 이름을 나타내고 웹 상에서 해당 자원을 찾을 수 있는 위치를 제공 ex: 'https://www.example.com/products' 행위(Verb) HTTP 메소드(GET, POST, PATCH, DELETE 등) 표현(Representations)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형태 JSON, ..
-
[NewWork] 토큰 기반 인증network 2024. 1. 24. 18:00
토큰 기반 인증 토큰을 기반으로 한 인증에 대해서 알기 전에 기존에 쓰이던 세션 기반 인증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해보겠음 세션(Session)이란?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까지 같은 사용자로부터 오는 일련의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 즉, 클라이언트 별로 각각의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기술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각 클라이언트 별로 세션ID를 부여하고,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세션을 유지함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가능 사용자가 많아질 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됨 -> 서버에 부하가 생길 ..
-
[NetWork] cookie, session, web storagenetwork 2024. 1. 23. 08:00
cookie, web storage, session 쿠키, 웹스토리지(로컬 스토리지, 세션 스토리지), 세션 쿠키와 웹스토리지가 생긴 이유 HTTP 프로토콜은 무상태(stateless)라는 특성을 가짐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에서 보내는 요청만으로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구별할 수 없음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에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이를 사용해 사용자를 식별하거나 사용자가 이전에 수행한 작업 등을 기억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서 생김 무상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는 사이클이 끝나고 나면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져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특성 Cookie 쿠키 하나당 최대 4KB까지 사용가능. 사이트 하나 당 약 20여개를 허용함(브라우저마다 다름). 쿠키 생성 단위는 브라우저(..
-
[NetWork] 브라우저에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network 2024. 1. 22. 08:00
브라우저에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? 유저가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함 url(Universal Resource Locator)이란? 서버에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입력하는 영문주소 DNS(domain name system) 조회 DNS는 브라우저가 리소스를 로드할 수 있도록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함 우선 브라우저는 로컬에 DNS 캐시가 있는지 살펴보고 없으면 ISP(ex: SK 브로드밴드, KT 등)의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요청함 그러면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반환함 브라우저는 이렇게 얻은 IP주소를 사용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TCP 연결을 함. 이 과정에서 3-way-handshake가 이루어짐(..
-
[NetWork]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network 2024. 1. 20. 08:00
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,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) 서로 다른 출처(origin) 간의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출처(origin)란? origin은 protocol + host + port를 의미함 (참고로 포트는 https는 443, http는 80번이며, 생략가능함) SOP(same origin policy, 동일 출처 정책)이란? SOP은 브라우저에서 보안을 위해 동일한 출처끼리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하는 정책을 뜻함 예전에는 프론트와 백엔드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한 번에 구성해서 모든 처리가 같은 도메인에서 가능했음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웹이 커지면서 클라이언트에서 api를 직접 호출하게 됨 -> 그런데 클라이언트와 api가 다른 도메인인 경우..